중명전
중명전 소개

중명전은 1897년에 경복궁의 집옥재와 같은 황실도서관으로 계획되어 1899년경에 완성된 건물입니다. 한성부 건축기사로 초빙된 미국인 다이(J.H.Dye)의 설계로 1층 서양식 건물로 지어졌으나, 1901년 화재 이후 정면과 양측면의 3면에 회랑이 있는 2층 건물로 재건되었습니다. 중명전의 본래 이름은 수옥헌(漱玉軒)으로 ‘옥을 씻는 집’을 의미합니다.
1904년 덕수궁 대화재 이후 황제의 임시 거처로 사용되었던 공간으로, 고종이 신료들이나 일본 관료들을 접견하는 장소로 이용되었습니다. 그리고 1905년 11월, 일본에 의해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된 장소로 사용되었고,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외국인들의 사교 클럽인 경성구락부로 사용되었습니다.
1925년에는 중명전에 화재가 발생하여 외벽만 남기고 소실되었습니다. 이후 건물의 형태를 변형하여 재건하였으며, 광복 이후 민간인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습니다. 문화재청은 민간소유권이었던 중명전을 2006년에 인수하고, 2009년에 변형된 건물의 형태를 되찾는 공사를 시행하여 대한제국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하였습니다. 복원된 중명전에는 전시관을 마련하여 대한제국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